옷만들기 기초 데님 스커트 리폼 7가지 아이디어·치수 가이드
옷만들기 기초 관점에서 해진 청바지를 살리는 8가지 리폼·수선법을 정리했습니다. #11·#14 바늘, 60수·40수 실, 시접 1.0 cm 기준과 재봉틀 사용법 팁을 체크리스트·표로 안내합니다.
착붙 핏이었던 청바지가 해지고 색이 바랬다고 끝은 아닙니다. 옷만들기 기초만 알면 수선과 리폼으로 더 멋진 데일리 아이템이 됩니다. 이 글은 찢김 보수 → 마모 보강 → 핏 리폼 → 스타일 업사이클 순으로 초보자도 따라 하기 쉬운 방법을 모았습니다. 장비 안전은 재봉기 안전지침과 한국패션산업협회 권고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바늘: 일반 데님 #14, 얇은 데님/혼방 #11
실: 상실 60수, 하실 40수(두께 겹침 안정)
패치: 데님 조각·캔버스·가죽(소형), 접착 심지(1.0 cm 폭)
도구: 줄자, 초크펜, 시침핀, 실뜯개, 원단가위, 다리미(스팀), 프레싱 천
재봉틀: 직선+지그재그 가능 모델 권장, 바늘 교체는 1벌 작업 전 점검
손상 진단: 무릎·사타구니·포켓 주변 마모/찢김 위치 파악.
세탁·건조: 변형을 방지하려면 미지근수 단시간 세탁→평건조.
방법 선택: 패치/다이닝(대각선 스티치)/보강 테이프/핏 리폼 중 택1 또는 혼합.
표시·시접: 시접 1.0 cm 기준, 겹침부는 오버록/지그재그로 정리.
마감: 스팀 다림질로 평탄화, 실꼬리 정리.
1) 인비지블 패치(보이지 않는 패치) ★★
뒤쪽에 얇은 데님을 대고 지그재그 L2.5/W1.5 mm로 상처 가장자리만 고정.
상실 60수·하실 40수, 바늘 #14. 겉면에 스티치가 최소로 보임.
2) 바텍(Bar-tack) 보강 ★
포켓 입구·벨트 루프 부근 풀림 방지. 지그재그 폭 2.5–3.0 mm, 길이 0.5–0.8 mm로 촘촘히.
컬러실 사용 시 포인트 효과.
3) 대각선 다이닝(Sashiko 감성) ★★★
해진 면에 45° 교차 스티치. 손바느질 땀 3–4 mm, 실은 40수 권장.
원단 뒤쪽에 접착 심지로 펼침을 고정하면 울렁임 감소.
4) 오리지널 밑단 유지 리폼 ★★
기존 워싱 밑단을 분리→길이 줄인 뒤 재부착. 톱스티치 3.0–3.5 mm, 바늘 #14.
상실 60수·하실 40수 조합으로 두께 평탄화.
5) 무릎·사타구니 보강 패널 ★★
안쪽에 캔버스 패널(시접 1.0 cm) 부착 후 겉에서 누빔 스티치 2.8–3.2 mm.
벌어짐 큰 곳은 ‘□+×’ 형태로 하중 분산.
6) 허리선 핏 리폼(테이퍼·허리 줄임) ★★★
옆선/센터백에서 조정. 데님은 시접이 두꺼워 망치로 평탄화 후 봉제.
되돌아박기 1 cm, 스티치 3.0–3.5 mm.
7) 포켓 뚫림 수선 ★★
포켓 자루를 뒤집어 같은 톤 원단으로 덧대기. 지그재그 2.5/1.5 mm, 가장자리 오버록.
개구부에는 바텍 2–3개 추가로 내구성↑.
8) 워크웨어 포인트 리벳/가죽패치 ★
하중 부위에 미니 가죽패치(시접 1.0 cm) + 바텍.
메탈 리벳은 專공구 필요, 초보는 봉제형 패치부터.
무릎: 인비지블 패치 + 다이닝 혼합 → 촘촘한 대각선으로 마모 확산 억제.
사타구니: 안쪽 캔버스 패널 + ‘□+×’ 스티치 → 인장 하중 분산.
포켓: 바텍 + 안감 보강 → 개구부 늘어짐 방지.
밑단: 오리지널 밑단 유지 → 빈티지 워싱 살리기.
바늘·실 매칭: 얇은 데님 #11/60수, 일반 데님 #14/상60수·하40수.
상장력 4–5, 두꺼운 겹침은 5–6에서 시험.
니들 플레이트(바늘판) 1.0 cm 가이드에 맞추어 직진성 확보.
겹침 6겹 이상은 프레서 풋 압력↓, 봉제 전 망치로 평탄화.
시작·끝 되돌아박기 1 cm, 장력·스티치 길이는 자투리로 반드시 테스트.
| 부위/기법 | 바늘 | 상/하실 | 스티치 | 시접 | 비고 |
| 인비지블 패치 | #14 | 60수/40수 | 지그재그 L2.5/W1.5 | 1.0 cm | 겉면 최소 노출 |
| 바텍 | #14 | 60수/40수 | 지그재그 L0.5/W2.5~3.0 | — | 포켓·루프 보강 |
| 오리지널 밑단 | #14 | 60수/40수 | 톱스티치 3.0–3.5 mm | 1.0 cm×2 | 워싱선 유지 |
| 보강 패널 | #14 | 60수/40수 | 직선 2.8–3.2 mm | 1.0 cm | 캔버스/데님 패널 |
| 다이닝(손) | — | 40수 | 땀 3–4 mm | — | 교차 45° |
봉제 전 자투리 4–6겹로 장력/길이 테스트
바늘 #11·#14, 실 60수·40수 매칭 확인
겹침 두께는 망치로 평탄화 후 진행
시접 1.0 cm 유지, 끝단 오버록/지그재그
되돌아박기 1 cm, 마감 후 스팀 프레싱
색상 대비 과한 실은 초보 비권장(오차가 도드라짐)
무릎 3 cm 찢김: 뒤에 데님 조각+접착 심지→겉면 지그재그 2.5/1.5 mm로 가장자리 봉합→대각선 다이닝으로 보강.
사타구니 얇아짐: 안쪽 캔버스 패널(시접 1.0 cm) 부착 후 ‘□+×’ 스티치. 바늘 #14, 상/하실 60/40수.
허리 크다: 센터백 –3 cm 조정, 벨트 루프 분리 후 재부착. 톱스티치 3.0 mm.
밑단 워싱 살리기: 밑단 분리→원하는 길이로 절단→기존 밑단 재부착, 중간에 1–2 mm 오프셋을 두면 자연 워싱 라인 유지.
작은 찢김은 공그르기로도 가능. 실은 40수, 바늘은 짧은 핸드니들.
다이닝은 장식+보수 겸용. 실 색을 톤온톤/대비 중 취향 선택(초보는 톤온톤 추천).
뒤집어 세탁망, 저속 탈수, 건조는 평건조 권장.
포켓·사타구니 보강부는 고열 다림질 금지, 프레싱 천으로 가볍게.
착용 주기 분산과 스트레치 회복 시간 확보.
Q1. 인비지블 패치와 다이닝을 같이 써도 되나요?
A. 네. 내부 보강(인비지블) 후 겉면 다이닝으로 보강하면 내구성과 디자인을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
Q2. 바늘·실은 꼭 #14/40수 조합만 쓰나요?
A. 기본은 데님 #14에 상실 60수·하실 40수입니다. 얇은 연청·혼방은 #11/60수로 시작해 보세요.
Q3. 겹침에서 스킵스티치가 나요.
A. 바늘 교체, 상장력 +0.5~+1, 프레서 풋 압력↓, 망치로 평탄화 후 다시 봉제하세요.
Q4. 밑단 워싱을 살리려면?
A. 오리지널 밑단 유지법을 사용하세요. 기존 밑단을 재부착하고 톱스티치 3.0–3.5 mm로 마감합니다.
Q5. 가죽패치나 리벳은 초보가 해도 될까요?
A. 봉제형 가죽패치는 가능합니다. 리벳은 專공구가 필요하므로 초보는 작업 난도와 안전을 고려해 후순위로 두세요.
낡은 청바지는 수선으로 수명↑ → 리폼으로 스타일↑이 정답입니다. 옷만들기 기초의 원칙—바늘 #11·#14, 실 60수·40수, 시접 1.0 cm, 되돌아박기 1 cm—만 지켜도 초보가 안정적으로 완성할 수 있습니다. 오늘 8가지 기법 중 상태에 맞는 조합을 골라 첫 리폼을 시작해 보세요.
본 글은 취미 재봉 일반 안내이며, 기기 설명서·안전지침을 우선하세요. 업데이트: 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