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만들기 기초 빈티지 옷 리폼 가이드, 세탁·보강·핏까지
옷만들기 기초 관점에서 해짐·찢어짐·얇아짐 등 손상된 옷감을 보강하는 안전한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실·바늘 호수 매칭, 심지/패치 선택, 단계별 봉제 팁 포함.
헐렁해진 무릎 데님, 얇아져 비치는 티셔츠, 원단이 해져 구멍이 난 코트… 버리기 전 옷만들기 기초만으로도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손상 유형 판별 → 보강 방식 선택 → 실·바늘 호수 매칭 → 박음·다림질 순으로, 초보도 재현 가능한 절차를 제공합니다. 한국 취미 재봉 환경과 재봉기 안전지침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얇아짐(마모): 섬유가 소실돼 비침이 생긴 상태. → 인바이저블 대닝(머신 대닝), 뒤쪽 접착심지 보강 적합.
실제 구멍/찢어짐: 섬유 단절. → 패치(안쪽/겉쪽) + 스티치 고정, 또는 사시코(자수 보강).
늘어남(변형): 니트·신축 원단에서 선 형태가 무너짐. → 스테이 테이프(stay tape, 변형 방지 테이프) 및 증감 스티치.
가랑이·팔꿈치 등 국부 마모: 높은 응력 부위. → 바이어스 방향 패치 + 상침으로 응력 분산.
판별 요령: 30 cm 거리에서 조명 비춰 비침 확인, 실 방향(날/씨) 체크. 날실·씨실 중 더 많이 끊긴 방향에 보강 스티치를 우선 배치합니다.
얇아짐(데님·코튼) → 뒤쪽 얇은 접착심지(저중량) + 인바이저블 대닝(지그재그/직선 촘촘히).
작은 구멍(≤8 mm) → 뒤쪽 접착심지 원형 보강 → 위에서 지그재그 폭 1.5–2.0 mm로 메움.
큰 찢어짐(>8 mm) → 안쪽 패치(같은/유사 원단, 바이어스 절단) + 0.2 cm 상침 그리드.
니트 늘어남 → 트리코트 심지 부착 후 번갈아 지그재그(폭 2.0–3.0 mm).
디자인 살린 수선 → 대조색 실로 사시코 자수 패턴 보강.
바늘: 얇은 면·셔츠 #11, 데님·트윌 #14, 니트 전용(볼포인트) #11.
실: 일반 면/폴리 60수(얇은 직물), 40수(중량 직물).
보강재: 인터페이싱(접착심지), 스테이 테이프, 데님 스크랩 패치, 패치용 천.
기본 도구: 쪽가위, 다리미, 포인트 터너, 재단칼·매트, 초크, 핀/클립.
재봉틀 점검: 니들 플레이트(바늘판) 벼림·긁힘 없는지 확인, 보빈 장력 기본값.
무릎·엉덩이처럼 얇아진 데님, 셔츠의 반복 마찰 부위.
뒤 보강: 손상 부위보다 가로·세로 +2 cm 큰 저중량 접착심지를 안쪽에 대고 중온 프레싱.
스티치 방향1(날실): 스티치 길이 2.0–2.4 mm, 밀도 촘촘히 왕복.
방향2(씨실): 직각 방향으로 다시 왕복.
마감: 겉에서 상침 0.2 cm 한 줄 추가해 들뜸 방지.
데님은 바늘 #14 + 실 40수 권장.
색상 매칭이 어렵다면 더 어두운 실이 흔적을 덜 돋보이게 합니다.
손상 부위를 사선(45°)으로 다듬어 올풀림 최소화.
바이어스(45°) 방향으로 잘라낸 패치를 뒤에서 시접 1.0 cm 겹치도록 접착.
겉에서 지그재그 폭 1.5–2.0 mm, 길이 1.8–2.2 mm로 테두리를 따라 한 바퀴.
힘 받는 방향으로 그리드 상침(간격 0.5–0.7 cm) 2–3줄.
데님·워크웨어는 겉에서 대조색 실로 사각/타원 패치를 상침 0.2 cm로 두 바퀴.
사시코 패턴(아사노하 등)은 내구 + 포인트 효과.
늘어난 부위 안쪽에 트리코트 심지(신축 보조형) 부착.
스티치: 지그재그 폭 2.0–3.0 mm, 길이 2.2–2.6 mm로 신축 따라가며 봉제.
목둘레·암홀 처짐은 스테이 테이프를 곡선 따라 붙이고 상침 0.2 cm.
| 원단 | 대표 손상 | 바늘 | 실 | 스티치 권장 |
| 셔츠 코튼(60수) | 얇아짐/미세 구멍 | #11 | 60수 | 지그재그 폭 1.5–2.0, 길이 2.0–2.4 |
| 데님 중량 | 무릎·가랑이 마모 | #14 | 40수 | 대닝 왕복 + 그리드 상침 |
| 니트/저지 | 늘어남·비침 | 전용 #11 | 60수 | 지그재그 폭 2.0–3.0 |
| 코트 울 혼방 | 팔꿈치 마모 | #14 | 40수 | 안쪽 패치 + 상침 0.2 |
상침 길이(겉상침)는 2.8–3.2 mm가 보기 좋습니다.
프레싱(눌러 다림) 우선, 문지르지 않기.
면/데님 중고온, 니트 저온, 울 중온 + 천 대고.
접착심지는 뒤에서부터 중앙→가장자리 순으로 열 고정.
전원 OFF 상태로 바늘 교체(#11·#14 구분).
손상 경계보다 +2 cm 큰 보강재 준비.
스티치 길이·폭 사전 샘플(자투리) 테스트.
방향1(날실) → 방향2(씨실) 순서로 대닝.
패치 테두리 지그재그 폭 1.5–2.0 mm 유지.
상침 0.2 cm로 들뜸 방지.
세탁 전 24시간 접착 완전 경화 대기.
데님 가랑이: 바이어스 패치 + 그리드 상침 2–3줄, 바늘 #14.
셔츠 팔꿈치: 안쪽 접착심지 + 방향 교차 대닝, 실 60수.
티셔츠 목둘레 늘어남: 스테이 테이프 + 지그재그 2.2–2.6 mm.
코트 밑단 찢어짐: 안쪽 패치 후 겉에서 상침 0.2 cm 한 줄로 마감선 고정.
대닝(darning): 실로 직조 방향을 메워 보강하는 기법.
스테이 테이프: 늘어남을 방지하는 가늘고 얇은 테이프.
상침(탑스티치): 겉면에 보이는 고정 박음.
Q1. 대닝과 패치는 무엇이 다른가요?
A. 대닝은 실로 빈 결을 채워 티를 최소화하는 방식, 패치는 천을 대어 강도 최우선의 방식입니다.
Q2. 접착심지는 어느 쪽에서 붙이나요?
A. 반드시 안쪽에서, 중앙→바깥 순으로 프레싱합니다. 광택 자국 방지 위해 천을 대세요.
Q3. 니트의 작은 구멍은 어떻게?
A. 같은 실로 손뜨기 보강이 최선이지만 초보는 트리코트 심지 + 지그재그로 시작하세요.
Q4. 세탁은 언제부터 가능하죠?
A. 접착 보강 후 24시간 경화 뒤 세탁하세요. 급한 경우 찬물 손세탁을 권장합니다.
핵심은 진단 → 보강재 선택 → 실·바늘 호수 매칭 → 방향성(날/씨) 스티치의 순서입니다. 시접 1.0 cm, 상침 0.2 cm, 대닝 왕복 간격 같은 작은 규칙을 지키면 초보도 내구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다음 보강 프로젝트는 얇아진 무릎 데님이나 팔꿈치 셔츠로 시작해 보세요!
참고 기준: 한국패션산업협회, 재봉기 안전지침.
본 글은 취미 재봉 일반 안내이며, 기기 설명서·안전지침을 우선하세요. 업데이트: 202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