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만들기 기초 데님 스커트 리폼 7가지 아이디어·치수 가이드
옷만들기 바늘 사용법 관점에서 티셔츠에 패치를 안전·튼튼하게 붙이는 법을 정리했습니다. 다림(아이론)·손바느질·재봉틀 3가지 방식과 #11·#14, 60수·40수·시접 1.0 cm 기준을 제공합니다.
티셔츠에 작은 패치 하나만 더해도 분위기가 확 달라집니다. 이 글은 옷만들기 바늘 사용법을 중심으로, 다림 부착(아이론) → 손바느질 → 재봉틀 순서의 3가지 방법을 난이도별로 설명합니다. 패치가 잘 떨어지지 않게 하는 골든 룰(원단·접착·스티치의 삼박자)과, 초보가 놓치기 쉬운 시접·장력·다림 시간 관리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안전 기준은 재봉기 안전지침과 한국패션산업협회 권고를 준용했습니다.
재질: 자수 패치(내구성↑), 펠트(가벼움), PVC/러버(세탁 내구 높은 편, 저온 다림).
뒷면: 접착형(아이론) vs 비접착(봉제 전용). 초보는 접착+봉제 병행 추천.
크기/두께: 지름 30–60 mm가 관리 쉬움. 두꺼운 러버는 반드시 봉제까지.
바늘: 얇은 티셔츠(코튼/혼방) #11, 두꺼운 저지·스웻 #14
실: 60수(표준), 40수(두께·러버 보강) — 톤온톤 권장
다리미(스팀), 프레싱 천, 접착 심지 테이프(1.0 cm)
재봉틀(직선/지그재그), 줄자·초크펜, 시침핀/원터치 집게, 원단가위
가슴 포인트: 목 중심에서 아래로 7–10 cm, 몸중심에서 좌/우로 3.5–5 cm.
소매 포인트: 밑단에서 위로 4–6 cm, 앞/뒤 중심선 기준 대칭.
중앙 배치: 목 중심선과 수직 정렬, 뒤틀림 방지용 표식 2점 표시.
표시: 초크로 위치 점을 세 점(상·좌·우) 잡아 기준선 만들기.
예열: 다리미 중온(면 2단계 전후), 스팀 OFF.
프레싱: 프레싱 천을 덮고 10–15초 눌러 부착, 옮기지 말고 완전 식힘.
뒷면 보강: 필요 시 접착 심지 테이프 1.0 cm를 뒤에 덧대어 세탁 내구 강화.
체크: 모서리 들뜸 확인. 들뜸이 있으면 5초씩 추가 프레싱.
팁: 열에 약한 PVC/러버는 저온·짧게(5–7초) 여러 번 나눠 프레싱.
실/바늘: 얇은 저지 #11/60수, 두꺼운 스웻 #14/40수.
스티치 선택
공그르기(숨은 박음): 겉실 노출 최소, 자수 패치에 추천.
런닝 스티치: 3–4 mm 간격, 가장 빠름.
휘핑(오버핸드): 가장자리 감싸 들뜸 방지, 러버/펠트에 효과.
절차
위치 고정: 시침핀 3–4개 또는 임시 스프레이 접착.
시접: 패치 가장자리에서 1.0 cm 안쪽으로 일정 간격.
각 모서리는 스티치 간격을 2–3 mm로 촘촘히.
매듭은 뒷면에서 2중 매듭 후 실꼬리 1 cm.
노루발: 일반 지그재그 풋 또는 자수 발.
세팅(재봉틀 사용법): 지그재그 길이 2.5–3.0 mm / 폭 1.5–2.0 mm, 상장력 3–4(두께감 4–5).
바늘: 코튼 저지 #11, 스웻/기모 #14. 실은 60수/표준·40수/보강.
봉제
가장자리 1–2 mm 안쪽을 따라 원형·타원 궤도로 천천히 회전.
시작·끝 되돌아박기 1 cm.
뒷면에 접착 심지 테이프를 원형으로 링 형태 보강하면 세탁 견딤↑.
주의: 신축 저지는 프레서 풋 압력을 한 단계 낮추고, 원단을 밀거나 당기지 않기.
| 원단/패치 | 권장 방식 | 바늘 | 실 | 스티치/시간 | 보강 |
| 코튼 저지×자수 패치 | 다림+지그재그 | #11 | 60수 | 2.5/1.5 mm, 1바퀴 | 뒤 심지 링 |
| 스웻(기모)×러버 | 손 휘핑+지그재그 | #14 | 40수 | 3.0/1.5 mm | 심지+저온 프레싱 |
| 펠트 패치 | 손 런닝/휘핑 | #11 | 60수 | 땀 3–4 mm | 옵션 |
| 대형(≥70 mm) | 재봉틀 지그재그 | #14 | 40–60수 | 2.8/2.0 mm | 링 보강 필수 |
위치 대칭(목/가슴 기준치) 재확인
바늘 #11·#14, 실 60수·40수 매칭
다림은 중온 10–15초+완전 식힘
재봉틀 되돌아박기 1 cm, 프레서 풋 압력 조절
모서리 2–3 mm 촘촘 봉제, 뒷면 링 보강
모서리 들뜸: 다림 5초 추가 프레싱→휘핑 스티치로 보강.
파상(물결침): 프레서 풋 압력 ↓, 스티치 길이 +0.5 mm, 니트 방향과 직각 이동.
스킵스티치: 바늘 교체, 상장력 +0.5, 실을 40수로 한 단계 굵게.
러버 광택 자국: 프레싱 천 필수, 저온·짧게 다단 프레싱.
첫 24시간 세탁 금지(접착 안정화).
뒤집어 세탁망, 저속 탈수, 건조는 평건조.
다림은 패치를 피하고 주변을 저온 프레싱.
Q1. 접착형 패치만 붙여도 괜찮나요?
A. 소형은 가능하지만 세탁 내구를 위해 최소 휘핑 한 줄을 권장합니다.
Q2. 바늘·실 조합이 헷갈려요.
A. 얇은 티셔츠는 #11/60수, 스웻·두꺼운 저지는 #14/40수로 시작하세요.
Q3. 원단이 늘어나 봉제가 흔들립니다.
A. 프레서 풋 압력을 낮추고, 뒷면에 접착 심지 링을 먼저 부착하면 안정됩니다.
Q4. 자수 패치에 스팀 써도 되나요?
A. 저온·프레싱 천 사용이 원칙입니다. 금속사/러버 혼합은 스팀 OFF 권장.
Q5. 대형 패치는 어디가 안전한가요?
A. 중앙은 원단 장력이 커서 변형 위험이 있습니다. 가슴 좌/우 포인트나 등판 중앙에 링 보강 후 작업하세요.
작은 패치로 큰 인상을 만드는 가장 안전한 루틴은 다림 부착으로 위치 고정 → 손/지그재그로 둘레 봉제 → 뒷면 링 보강입니다. 옷만들기 바늘 사용법의 기본(바늘 #11·#14, 실 60수·40수, 시접·되돌아박기 1.0 cm/1 cm)만 지켜도 초보도 내구성과 디자인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본 글은 취미 재봉 일반 안내이며, 기기 설명서·안전지침을 우선하세요. 업데이트: 2025-10-18